본문 바로가기
건강 · 의학

생수 30년, 정말 안전할까? 수질 문제와 미세플라스틱 현실

by anais9 2025. 4. 28.

'생수', 우리가 매일 마시는 물이죠.
1995년 '먹는물관리법' 시행 이후, 생수(먹는샘물)가 유통된 지 벌써 30년이 됐습니다.
하지만 생수의 안전성에 대해 다시 생각해봐야 할 때입니다.

 

 

 

 

생수 수질 문제, 생각보다 심각합니다

2019년부터 2024년 7월까지, 생수 수질 기준 위반 사례를 보면 충격적입니다.

  • 원수 수질 부적합: 30건
  • 시중 제품 수질 부적합: 10건
  • 주요 위반 항목
    • 일반 세균(18건)
    • 총대장균군(12건)
    • 알루미늄 및 중금속 크롬(각 1건)
    • 방사성물질 우라늄(1건)

이 가운데는 우리가 흔히 접하는 대형 생수 브랜드도 포함돼 있었어요.

생수=깨끗한 물이라는 믿음, 반드시 맞는 건 아닙니다.

미세플라스틱 검출도 심각

국립환경과학원의 연구(2022~2023)에 따르면,

  • 생수 1ℓ당 지름 20㎛ 이상 미세플라스틱 평균 1.32개 검출
  • 검출률 88.1% (생수 10병 중 9병 꼴)

특히, **생수 플라스틱병(페트병)**은
온도 상승과 자외선 노출 시 발암물질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45도 고온 보관 시 발암물질 농도 1.6배 ↑

생수 수질 위반, 소비자는 잘 모른다?

환경부는 수질 위반 업체 정보를 공개하고 있지만,

  • 경고 처분은 1개월만
  • 영업정지 처분은 3개월만
  • 회수·폐기 정보도 종료일까지만

결국, 시간이 지나면 기록이 사라지고, 소비자들은 알기 어렵습니다.

생수 관리, 앞으로 이렇게 달라집니다

환경부는 30년 만에 생수 관리 기준을 손봅니다.

  • 2027년부터 '먹는샘물 안전 인증제' 도입
  • 보관 규정 강화 (현재는 "차고 어두운 곳에 보관" 정도)

하지만,
미세플라스틱 대책은 아직 부족합니다.
표준 측정법과 건강 영향 연구가 충분치 않기 때문이죠.

생수 시장 3조 원 돌파, 국가 관리 더 철저히 해야

2024년 기준 생수 시장 규모는 3조1700억 원.
국민 3명 중 1명꼴로 생수를 마시는 시대입니다.

이제는 단순히 "깨끗해 보인다"는 이미지가 아니라,
실제 수질과 안전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할 때입니다.

✔️ 미세플라스틱 방지 대체 용기(종이병, 스테인리스병) 개발
✔️ 생수 품질 관리 강화
✔️ 소비자 정보 공개 기간 연장

이제는 생수도 '믿고 마실 수 있게' 바뀌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