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식물을 바라보며 어떤 식물은 세련됐고 또 어떤 식물은 촌스럽다고 평가하지만, 붉은 산철쭉 꽃이든 노란 라넌큘러스 꽃이든 그저 각자 번식에 용이하도록 진화했을 뿐이다. 게다가 인간은 마음 기저에 세련된 미감을 갖고 있다고 여기는 유럽 선진국민들이야말로 아잘레아를 포함한 로도덴드론속 식물들을 너무나 사랑해 이들을 ‘로디’라는 애칭으로 부르고, 유럽 각지에 로도덴드론속 식물만이 식재된 정원과 식물원을 조성해 왔다.
독일 브레멘에 있는 브레멘 로도덴드론 공원도 그중 하나다. 이곳엔 2000종 이상의 아잘레아와 만병초가 있는데, 이 공원에서 특히나 기억에 남는 종은 표찰에 ‘코리아 로도덴드론’이라고 적힌 식물이었다. 이 식물은 우리 모두가 아는 진달래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냥 지나치기 일쑤였던 진달래를 독일에선 왜 그리 오래 들여다봤는지 모르겠다. 외국에서 고향 친구를 만난 기분도 들었다.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다. 진달래는 흔히 코리안 로도덴드론, 코리안 아잘레아라고 불린다.
'문화 ·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세 조회 . 납부 . 자동이체 방법 안내 (2) | 2025.05.05 |
---|---|
지디 하이볼 예약 방법부터 칼로리, 도수, 솔직 후기까지! [피스마이너스원 한정판] (4) | 2025.05.05 |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봄의 전령이자 정령, 초령목 (0) | 2025.05.03 |
올 여름 더 덥다는데…"에어컨 자가점검 해보세요" (0) | 2025.05.03 |
경복궁 생과방에서 마주한 다과의 격식 (0)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