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 생활

폐가전 무료수거

by anais9 2025. 3. 14.

 

 


사용하지 않는 가전제품을 버릴 때, 지자체나 민간 업체를 통해 무료로 수거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대형 가전제품을  버릴 때는 보통 처리 비용이 발생하지만, 무료 수거 서비스를 이용하면 비용 부담 없이 처리할 수 있습니다.

1.  폐가전 무료 수거 대상 품목

무료로 수거 가능한 가전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형 가전: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김치냉장고 등
  • 소형 가전: 전자레인지, 밥솥, 컴퓨터 본체, 프린터 등 (소형 가전은 일정 수량 이상일 경우 무료 수거 가능)

2. 폐가전 무료 수거 신청 방법

1) 온라인 신청 

국가 기관에서 운영하는 폐가전 무상 방문 수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신청 방법:

  • 순환 거버넌스 웹사이트 방문 및 온라인 신청, 주소 입력 후 배출할 품목 선택
  • 수거 일정 선택: 원하는 날짜 선택 후 예약
  • 수거 완료: 지정된 날짜에 기사님이 직접 방문하여 무료 수거 

서비스 신청하기

 

* 유의사항: 수거 기사님이 방문했을 때, 제품이 분해되거나 부품이 없는 경우 수거 불가할 수도 있습니다. 대형 가전은 1개부터 가능하지만, 소형 가전은 5개 이상이어야 가능합니다.

2) 지자체 (동사무소) 이용하기

일부 지자체에서는 자체적으로 폐가전 무료 수거 서비스를 운영합니다. 구청 홈페이지 확인 후, 담당 부서에 전화하여 신청 가능합니다. 

  • 동사무소에서 운영하는 폐가전 수거 장소에 직접 가져가기

3) 대형마트나 가전업체 이용

  • 대형 가전제품을 새로 구매하면 기존 제품을 무료로 수거해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 예를 들어, 삼성전자, LG전자, 하이마트, 전자랜드 같은 곳에서 폐가전 수거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3. 폐가전 버릴 때 주의할 점

  • 폐가전을 임의로 버리면 불법 투기로 간주되어 과태료 부과될 수 있습니다.
  • 냉장고, 에어컨 같은 제품은 냉매 가스 제거 후 배출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폐가전 수거 업체를 이용할 경우, 꼭 무료 수거 여부 확인하기 (일부 사설 업체는 비용을 요구할 수도 있음)

4. 기타 유료 배출 방법

무료 수거가 어려운 경우, 유료 대형 폐기물 배출을 고려해야 합니다. 

  • 주민센터(구청)에서 스티커를 구매한 후 폐기물 배출
  • 스티커 비용은 품목별로 다르며, 보통 TV 5천원, 냉장고 3만원 정도 수준입니다. 

5. 결론

폐가전 무료 수거는 국가기관, 지자체, 대형마트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1599-0903) 서비스를 이용하면 편리하고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