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문화예술을 사랑하는 19세 청년들을 위한 특별한 선물이 준비됐습니다. 바로 **'청년문화예술패스'**인데요!
최대 15만 원 상당의 문화예술 공연 관람 지원금이 제공되는 만큼, 놓치면 아쉬운 혜택입니다.
하지만 신청만 하고 사용하지 않으면 전액 회수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청년문화예술패스의 신청 방법, 사용처, 양도 제한, 회수 조건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드릴게요.
놓치지 말고 문화생활 알차게 즐겨보세요!
🎯 1. 청년문화예술패스 신청 대상 및 방법
- 신청 대상: 2006년생(만 19세) 대한민국 청년
- 신청 기간: 2025년 3월 6일 ~ 5월 31일
- 지원 대상 인원: 약 16만 명
- 신청 절차:
- 예매처 회원가입 및 본인 인증
- 인터파크 티켓 또는 YES24 티켓 중 택1
- 청년문화예술패스 공식 홈페이지 가입 및 본인 인증
- 예매처 선택 후 신청 완료 → 자격 확인 후 포인트 지급
- 예매처 회원가입 및 본인 인증
예매처는 신청 시 1곳만 선택 가능하며, 이후 변경은 사용 이력 없을 시 단 1회만 가능합니다.
💰 2. 얼마나 지원되나요?
- 국비 지원: 10만 원
- 지방비 추가 지원: 최대 5만 원 (지자체별 상이)
- 최대 총액: 최대 15만 원
형태: 선택 예매처 계정에 포인트 또는 상품권 형태 지급
서울 청년문화패스 지원대상과 문화관람비 지원
청년의 문화생활을 지원하는 ‘서울청년문화패스’가 2025년에도 계속됩니다. 서울시는 3월 18일까지 ‘2025 서울청년문화패스’ 참여자 2만 7,000여명을 모집합니다.서울청년문화패스는 치열한
anais9.tistory.com
‘1만 원 환급부터 공연 할인까지’ 2025 소비쿠폰 활용법
2025 소비쿠폰, 제대로 챙기면 '현금급' 혜택!"곧장 쓸 수 있게" 카드사 통하거나 지역화폐 형태로 지급내란 사태·미 관세 등으로 0%대 성장 전망'추경 대방출' 재원은? 정부 "재원 3분의 2를 국채로
anais9.tistory.com
📍 3. 어디서, 무엇에 쓸 수 있나요?
- 사용 가능한 항목:
- 뮤지컬
- 연극
- 클래식
- 콘서트
- 오페라
- 전시회 등
- 사용 불가 항목:
- 영화 관람
- 스트리밍/음원 서비스
- 현장 구매
반드시 선택한 예매처 계정을 통해 예매해야 하며, 동일 회차는 1인 1매만 가능합니다.
⛔ 4. 양도는 절대 금지!
- 청년문화예술패스는 양도, 판매, 공유 금지입니다.
- 본인 외 사용 시 부정 사용으로 간주, 지원금 전액 회수 및 향후 참여 제한이 있을 수 있어요.
⚠️ 5. 사용 안 하면 전액 회수!
- 예매일 기준 6월 30일까지 단 1원도 사용하지 않으면 전액 회수됩니다.
- 관람일 기준 12월 31일까지는 잔액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니, 6월 전에 반드시 1회 이상 사용하세요!
✔ 예시
- 6월 29일에 1,000원이라도 예매 → 12월까지 나머지 자유롭게 사용 가능
- 6월 30일까지 아무것도 안 하면 → 포인트 전액 자동 회수
📝 요약 정리
항목 | 내용 |
대상 | 2006년생 대한민국 청년 |
신청 기간 | 2025년 3월 6일 ~ 5월 31일 |
예매처 | 인터파크 or YES24 중 1곳 |
지원금 | 최대 15만 원 |
사용처 | 문화예술 공연/전시 (영화·현장 구매 불가) |
유효기간 | 6/30까지 1회 사용 필수, 12/31까지 전체 사용 가능 |
유의사항 | 양도 불가, 부정 사용 시 회수 조치 |
🧾 마무리 Tip
청년문화예술패스는 단순한 문화 쿠폰이 아닙니다.
우리 청년들의 예술 향유 기회를 보장하는 정부의 소중한 지원책이죠.
신청은 했지만 아직 사용하지 않으셨다면, 6월 30일 전까지 꼭 1회 이상 예매하세요.
그렇지 않으면 전액 회수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문화생활을 제대로 즐기고 싶은 청년이라면, 지금 바로 예매처로 고고!
'정부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사 80·박사 110만 원… 이공계 대학원생에 장려금 첫 지급 (0) | 2025.07.02 |
---|---|
“신축·역세권·저렴한 월세” 삼박자 갖춘 청년안심주택, 입주 꿀팁은? (0) | 2025.06.30 |
"2025 민생회복지원금, 소득세 내야 하나요? 비과세 체크포인트" (0) | 2025.06.22 |
“계엄 피해 소상공인, 최대 200만원 직접 보상 검토…연내 지급 예정” (1) | 2025.06.19 |
경기도, 청년 신혼부부 2천650쌍에 결혼지원금 100만원 지급 (2)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