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 정치

메가커피 체인점의 수익 알아보기

by anais9 2025. 4. 9.

메가커피(Mega Coffee)는 대한민국에서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저가 커피 프랜차이즈 중 하나로, 대용량 음료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메가커피의 수익성은 여러 요소에 따라 달라지며, 가맹점주 입장에서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요소로 나눌 수 있습니다.

 

 

 

📌 1. 창업 비용

메가커피의 가맹점 개설 비용은 비교적 합리적인 수준입니다 (2024년 기준, 변동 가능).

  • 가맹비: 약 1,000만 원
  • 교육비 및 인테리어: 약 6,000만~1억 원 수준 (점포 크기에 따라 다름)
  • 기기/설비비: 약 3,000만~5,000만 원
  • 총 투자비용: 약 1억~1억 5천만 원 수준 (매장 규모, 위치, 상태에 따라)

📌 2. 운영 비용

  • 로열티: 메가커피는 일정 매출 대비 로열티를 받는 구조가 아닌 원·부자재 공급에서 수익을 내는 구조로 알려져 있어, 점주 입장에서는 비교적 부담이 적습니다.
  • 원가율: 메가커피의 운영사인 앤하우스는 2023년 매출 4,959억 원, 영업이익 1,076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이 34.6%, 영업이익이 249%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러한 성과로 영업이익률은 약 21.7%에 달합니다. 또한, 당기순이익은 814억 원으로, 이 중 382억 원을 배당금으로 지급하여 배당 성향은 46.8%를 나타냈습니다.
  • 인건비: 2~4인 근무체계 필요. 테이크아웃 위주 매장이 많아 비교적 인건비 부담은 적은 편.
  • 임대료: 지역 및 상권에 따라 매우 다름 (핵심 상권은 월 300만 원 이상, 일반 지역은 100만 원대도 가능)

 

📌 3. 매출

메가커피의 매출은 입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입니다.

  • 상권별 월 매출 예시:
    • 상급지(역세권/대학가/번화가): 5,000만 원~1억 원+
    • 중급지(주거+상업 혼합 지역): 2,000만~4,000만 원
    • 하급지(주거 위주 지역): 1,000만~2,500만 원

 

📌 4. 수익 구조

예를 들어 월매출이 4,000만 원인 매장의 수익성을 간단히 계산해보면:

     항 목                                                                                        금 액(월)

     

매출 40,000,000원
원가 (30%) -12,000,000원
인건비 -5,000,000원
임대료 -2,500,000원
기타비용(전기,세금 등) -2,000,000원
순수익 18,500,000원

※ 상기 수치는 예시이며, 매장 위치·운영 방식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 5. 장점과 단점

✅ 장점

  • 대용량 + 저렴한 가격으로 고객 흡인력 강함
  • 브랜드 인지도 상승 중
  • 테이크아웃 위주로 회전율 높음
  • 비교적 낮은 고정비

❌ 단점

  • 메뉴 단가가 낮아 고매출 없이는 고수익 어렵다
  • 경쟁 치열 (더벤티, 빽다방 등과 직접 경쟁)
  • 상권 의존도 높음 (입지 선정이 매우 중요)
  • 대량 생산 및 기계화된 운영으로 브랜드 차별화는 약함

 

📌 결론

메가커피는 저비용 고효율 창업이 가능한 프랜차이즈로, 입지 선정만 잘하면 월 수익 수천만 원대도 가능한 모델입니다. 하지만 매출 대비 이익률은 낮은 편이며, 고정비 비중이 적어도 일정 이상의 매출이 유지되어야 수익성이 확보됩니다.